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차 GhemTV 스타리그

덤프버전 :

1. 개요
2. 사용 맵
3. 예선
4. 본선
4.1. 16강
4.1.1. 16강 재경기
4.2. 8강
4.3. 4강
4.4. 3, 4위 결정전
4.5. 결승전
5. 여담



1. 개요[편집]


* 대회 기간: (예선)2002년 2월 19일, (본선)2002년 3월 13일 ~ 2002년 5월 29일
* 장소 : (예선) 종로 3가 국일관 6층 드림팰리스 게임아이 PC방
* 해설 : 전용준, 김창선
* 우승: 한웅렬, 준우승: 기욤 패트리, 3위: 이윤열, 4위: 전태규


2. 사용 맵[편집]


예선 : 라이벌리(Rivalry), 스노우 바운드(Snowbound), 로스트 템플(Lost Temple)
본선 : 라이벌리(Rivalry), 스노우 바운드(Snowbound), 로스트 템플 D[1](Lost Temple), 뉴 리모트 아웃포스트


3. 예선[편집]


일 시 : 2002년 2월 19일 (화)요일
장 소 : 종로 3가 국일관 6층 드림팰리스 게임아이 PC방
시 간: A조 오전 09:30, B조 오전 11: 30분
진행 방식: 3전 2선승제 토너먼트 방식
맵 : 1경기:로스트템플, 2경기:스노우바운드, 3경기:라이벌리

예선전 8강-4강 -결승을 통해 본선 진출자 16명 선정 (시드 배정자 1명 포함)

승자패자승패현황
1조 결승강도경(Z)박상익(Z)승승
2조 결승기욤(P)조창우(Z)승승
3조 결승김동수(P)김성제(P)패승승
4조 결승김정민(T)스티븐킹(P)승패승
5조 결승전태규(P)박경락(Z)승승
6조 결승베르트랑(T)허용석(T)패승승
7조 결승임성춘(P)조경운(T)승승
8조 결승이재훈(P)김근백(Z)승승
9조 결승최인규(T)최우범(T)승승
10조 결승홍진호(Z)민광현(Z)승승
11조 결승박효민(Z)오창종(P)승패승
12조 결승한웅렬(T)김갑용(Z)승승
13조 결승박정석(P)주진철(Z)승승
14조 결승이윤열(T)손승완(P)승승
15조 결승임효진(P)김완철(Z)승승

4. 본선[편집]




4.1. 16강[편집]


파일:테란아이콘.png파일:저그아이콘.png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5명1+3명7명
스타리그 시드자
성명성명성명
장진남[2]
예선 통과자(15명)
성명성명성명
최인규박효민임효진[3]
베르트랑강도경이재훈
이윤열홍진호김동수
한웅렬기욤
김정민임성춘
박정석
전태규


A조 (이윤열 1위, 나머지 3자 재경기)
2002.3.132002.3.202000.3.272002.4.32002.4.102002.4.17
구분1경기2경기3경기4경기5경기6경기
라이벌리스노우 바운드뉴 리모트 아웃포스트라이벌리뉴 리모트 아웃포스트로스트 템플
김동수(P)
[1-0]
장진남(Z)
[0-1]
이윤열(T)
[1-0]
한웅렬(T)
[0-1]
장진남(Z)
[1-1]
한웅렬(T)
[0-2]
이윤열(T)
[2-0]
김동수(P)
[1-1]
이윤열(T)
[3-0]
장진남(Z)
[1-2]]
한웅렬(T)
[1-2]]
김동수(P)
[1-2]

  • 이윤열 3승, 김동수 1승2패, 장진남 1승2패, 한웅렬 1승 2패

B조 (기욤 1위, 전태규 2위)
2002.3.132002.3.202000.3.272002.4.32002.4.102002.4.17
구분1경기2경기3경기4경기5경기6경기
로스트 템플라이벌리로스트 템플스노우 바운드스노우 바운드뉴 리모트 아웃포스트
기욤(P)
[1-0]
전태규(P)
[0-1]
박효민(Z)
[1-0]
최인규(T)
[0-1]
기욤(P)
[2-0]
최인규(T)
[0-2]
전태규(P)
[1-1]
박효민(Z)
[1-1]
기욤(Z)
[3-0]
박효민(Z)
[1-2]
전태규(P)
[2-1]
최인규(T)
[0-3]

  • 기욤 3승, 전태규 2승 1패, 박효민 1승 2패, 최인규 3패

C조 (강도경, 이재훈, 임효진 3자 재경기)
2002.3.142002.3.212000.3.282002.4.42002.4.112002.4.18
구분1경기2경기3경기4경기5경기6경기
라이벌리라이벌리뉴 리모트 아웃포스트스노우 바운드뉴 리모트 아웃포스트로스트 템플
이재훈(P)
[1-0]
임효진(P)
[0-1]
강도경(Z)
[1-0]
베르트랑(T)
[0-1]
이재훈(P)
[2-0]
베르트랑(T)
[0-2]
임효진(P)
[1-1]
강도경(Z)
[1-1]
강도경(Z)
[2-1]
이재훈(P)
[2-1]
임효진(P)
[2-1]
베르트랑(T)
[0-3]

  • 강도경 2승 1패, 이재훈 2승 1패, 임효진 2승 1패, 베르트랑 3패

D조 (홍진호 1위, 김정민 2위)
2002.3.142002.3.212000.3.282002.4.42002.4.112002.4.18
구분1경기2경기3경기4경기5경기6경기
뉴 리모트 아웃포스트로스트 템플로스트 템플스노우 바운드스노우 바운드라이벌리
홍진호(Z)
[1-0]
임성춘(P)
[0-1]
김정민(T)
[1-0]
박정석(P)
[0-1]
김정민(T)
[2-0]
임성춘(P)
[0-2]]
홍진호(Z)
[2-0]
박정석(P)
[0-2]
박정석(P)
[1-2]
임성춘(P)
[0-3]]
홍진호(Z)
[3-0]
김정민(T)
[1-0]

  • 홍진호 3승, 김정민 2승 1패, 박정석 1승 2패, 임성춘 3패


4.1.1. 16강 재경기[편집]



A조 (2002.4.18)
재경기
구분1경기2경기3경기
로스트 템플뉴 리모트 아웃포스트
한웅렬(T)
[1-0]
김동수(P)
[0-1]
한웅렬(T)
[2-0]
장진남(Z)
[0-1]

C조 (강도경 1위, 이재훈 2위.2002.4.18)
재경기
구분1경기2경기3경기
뉴 리모트 아웃포스트
이재훈(P)
[1-0]
임효진(P)
[0-1]
강도경(Z)
[1-0]
임효진(P)
[0-2]


4.2. 8강[편집]



A조 (전태규 1위, 이윤열 2위)
2002.4.242002.4.252000.5.12002.5.22002.5.82002.5.9
구분1경기2경기3경기4경기5경기6경기
라이벌리스노우 바운드로스트 템플뉴 리모트 아웃포스트
김정민(T)
[1-0]
전태규(P)
[0-1]
이윤열(T)
[1-0]
강도경(Z)
[0-1]
전태규(P)
[1-1]
이윤열(T)
[1-1]
강도경(Z)
[1-1]
김정민(T)
[1-1]
전태규(P)
[2-1]
강도경(Z)
[1-2]
이윤열(T)
[2-1]]
김정민(T)
[1-2]

전태규 2승 1패, 이윤열 2승 1패, 강도경 1승 2패, 김정민 1승 2패

B조 (기욤 1위, 한웅렬 2위)
2002.4.242002.4.252000.5.12002.5.22002.5.82002.5.9
구분1경기2경기3경기4경기5경기6경기
스노우 바운드로스트 템플뉴 리모트 아웃포스트라이벌리
기욤(P)
[1-0]
홍진호(Z)
[0-1]
한웅렬(T)
[1-0]
이재훈(P)
[0-1]
한웅렬(T)
[2-0]
홍진호(Z)
[0-2]
기욤(P)
[2-0]
이재훈(P)
[0-2]
홍진호(Z)
[1-2]
이재훈(P)
[0-3]]
기욤(P)
[3-0]
한웅렬(T)
[2-1]

기욤 3승, 한웅렬 2승 1패, 홍진호 1승 2패, 이재훈 3패


4.3. 4강[편집]


4강 진출자
파일:테란아이콘.png파일:저그아이콘.png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성명성명성명
이윤열기욤
한웅렬전태규
2명0명2명

4강 A조
2002.5.16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전태규
ZeuS
vs파일:테란아이콘.png 한웅렬
oddysay
1세트
로스트 템플
2세트
라이벌리
3세트
뉴 리모트 아웃포스트
1세트 스코어2

4강 B조
2002.5.17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기욤
Grrr....
vs파일:테란아이콘.png 이윤열
NaDa
1세트
로스트 템플
2세트
스노우 바운드
2세트 스코어0


4.4. 3, 4위 결정전[편집]


3, 4위 결정전
2002.5.22
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전태규
ZeuS
vs파일:테란아이콘.png 이윤열
NaDa
1세트
로스트 템플
2세트
라이벌리
0세트 스코어2


4.5. 결승전[편집]


결승전
2002.5.29
파일:테란아이콘.png 한웅렬
oddysay
vs파일:프로토스아이콘.png 기욤
Grrr....
1세트
로스트 템플
2세트
라이벌리
3세트
스노우 바운드
4세트
뉴 리모트 아웃포스트
5세트
로스트 템플
3세트 스코어0
1차 GhemTV 스타리그 우승자
파일:테란아이콘.pngoddysay 한웅렬
경기전 프리뷰


5.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3:59:56에 나무위키 1차 GhemTV 스타리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데저트 타일 컨버트 버전[2] PGR21기록실에선 전대회 우승으로 얻은 시드라는 언급이 있는데 GhemTV 리그 중 2001년 GhemTV Let's go GameWorld 우승이 있긴한데 이 우승으로 시드를 받은것일수도..[3] 워크래프트 3 클래식 시기에 나이트 엘프 최강자였던 그 임효진이다. 같은 시기 리복배 KPGA 투어 2차 리그에도 진출하게 된다.